VM setting Network : Bridged 확인 후 On

1. CentOS7 설치

2. 네트워크 설정 (ftp, PuTTy접속)

더보기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네트워크ID

확인사항)
HWADDR=00:00:00:00:00:00 
TYPE=Ethernet 
BOOTPROTO=dhcp 
DEFROUTE=yes 
PEERDNS=yes 
PEERROUTES=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PEERDNS=yes 
IPV6_PEERROUTES=yes 
IPV6_FAILURE_FATAL=no 
NAME=eno16777736 
UUID=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 
ONBOOT=yes 
GETEWAY=192.168.0.1 
DNS1=168.126.63.1 

 

기본 프로그램 설치 및 업데이트

더보기


#yum -y update
#yum -y install ftp
#yum -y install net-tools

3. httpd (apache)설치

더보기

vsftpd 설치
# yum -y install vsftpd

부팅시 vsftpd 자동시작
# systemctl enable vsftpd.service

vsftpd 서비스 시작
# systemctl start vsftpd

 

더보기

방화벽 설치
# yum -y install system-config-firewall-tui

방화벽 포트허용 설정
# vi /etc/sysconfig/iptables 
  
-A INPUT -p tcp -m state --state NEW -m tcp --dport 80 -j ACCEPT 
-A INPUT -p tcp -m state --state NEW -m tcp --dport 22 -j ACCEPT 
-A INPUT -p tcp -m state --state NEW -m tcp --dport 21 -j ACCEPT 
-A INPUT -p tcp -m state --state NEW -m tcp --dport 3306 -j ACCEPT 

※Tip
포트 80 : 아파치    
포트 22 : SSH     
포트 21 : FTP     
포트 3306 : MySql 

더보기

방화벽 데몬 Disable 
# systemctl mask firewalld 

방화벽 시작 
# systemctl start iptables 
  
부팅시 자동 시작 
# systemctl enable iptables.service

 

Apache 설치

더보기

아파치 설치
# yum -y install httpd

부팅시 자동시작
# systemctl enable httpd.service
 
아파치 서버 시작
# systemctl start httpd

 

4. PHP 설치

Google

5. Mysql(mariaDB)설치 및 세팅

Google

DB생성, 계정 생성, 권한부여

6. 재부팅

더보기

#shutdown -r now

 

7. 그누보드 업로드 및 설정진행

그누보드 다운로드
https://sir.kr/main/g5/

설정진행 중 chmod 707 data 요청 계속나올때※

Tip. CentOS SELINUX 설정

더보기

//SELinux 확인
#getsebool -a | grep httpd 

//SELinux 변경
#setsebool -P httpd_can_network_connect=on
#setsebool -P httpd_can_network_connect_db=on
#setsebool -P allow_httpd_anon_write=1 
#setsebool -P allow_httpd_sys_script_anon_write=1 


#chcon -R -t httpd_sys_rw_content_t /var/www/html

 

8. 아미나 업로드

아미나 다운로드

http://amina.co.kr/bbs/board.php?bo_table=apms 

 

'공부방 >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적 부채  (0) 2020.05.20
복구파티션 삭제  (0) 2020.05.07
VMware 용량추가  (0) 2020.05.07
Crystal Reports Date format  (0) 2020.04.28
EditPlus 설정 파일 경로  (0) 2020.04.27

'기술적 부채(Technical debt)'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장기적으로 바람직한 접근법 대신 당장 편한 해법을 택해 발생하는 추가적 작업 비용을 가리킵니다. '디자인 부채(design debt)', '코드 부채(code debt)'라고도 불립니다. 예를 들어 어떤 코드를 수정하면 연관된 코드와 문서화 작업을 함께 해야 하는데, 여러 이유로 이 작업을 미뤄 두면 결국 언젠가는 해야 할 작업, 즉 '빚'이 됩니다.

이 개념은 '금융 부채'와 비교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부채를 상환하지 않으면 이자를 내야 하고, 이 이자가 쌓이면 재정 상황이 나빠지죠. 기술적 부채도 처음에는 큰 부담이 아니지만 방치하면 기존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수정하기도, 그대로 운영하기도 힘든 난감한 상황이 됩니다. 오픈소스에서는 로컬에서 수정한 것을 업스트림 프로젝트로 보내지 않는 것을 기술적 부채로 보기도 합니다.

기술적 부채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불충분한 선행 정의입니다. 요건 파악이나 설계를 제대로 하지 않고 개발을 진행하는 것이죠. 개발 기간을 조금 줄일 수 있지만 결국 더 많은 재작업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더 빠른 릴리즈를 요구하는 현업의 압박, 모듈화되지 않은 컴포넌트, 테스트와 문서화의 부족, 빈약한 협업 등도 기술적 부채가 생기는 원인입니다.

상당한 기술적 부채를 안은 채 릴리즈하면 훗날 이를 바로잡는 부담이 급격히 커집니다. 이미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수정해야 하므로 장애 위험도 감수해야 합니다. 클라우드 업체라면 SLA(Service Level Agreement)에 따른 법적 책임을 져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많은 기업이 기술적 부채를 그대로 안고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마치 더 많은 이자를 감당하며 해결을 미루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다고 기술적 부채를 무조건 나쁜 것으로 볼 필요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개념증명(PoC) 같은 프로젝트는 어느 정도 기술적 부채를 감수하는 것이 오히려 효율적입니다. 장기적 대비보다는 당장 상용화 여부를 판단해야 하니까요. 반면 '기술적 부채'라는 표현 자체부터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마땅히 해야 할 작업을 안 하는 것을 그럴듯하게 포장하는 데 악용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원문보기:
http://www.itworld.co.kr/news/108316#csidx34216a7a953b18fa727cda4d60fc878 

 

 

ideal burn based on optimal quality
최적의 품질에 따른 이상적인 생각

managerial pressure exerted to meet deadline
마감 시한을 맞추기 위해 경영 압력

'공부방 >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누보드 5 + 아미나  (0) 2020.08.06
복구파티션 삭제  (0) 2020.05.07
VMware 용량추가  (0) 2020.05.07
Crystal Reports Date format  (0) 2020.04.28
EditPlus 설정 파일 경로  (0) 2020.04.27

1. 명령 프롬프트(CMD) 우클릭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diskpart

3. list disk

4. select disk 0

5. list partition

6. select partition 4

7. delete partition override

'공부방 >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누보드 5 + 아미나  (0) 2020.08.06
기술적 부채  (0) 2020.05.20
VMware 용량추가  (0) 2020.05.07
Crystal Reports Date format  (0) 2020.04.28
EditPlus 설정 파일 경로  (0) 2020.04.27

1.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2. Hard Disk 선택

3. Expand.. 클릭

4. 용량 설정 후

5. Expand 클릭

There is not enough space on the file system for the selected operation.

Error시 .vmdk확장자가 존재하는 드라이브 용량 확인

The disk was successfully expanded. You must repartition the disk and expand the file systems from within the guest operating system.

정상 메세지

 

6. VM 실행 후 내 컴퓨터 우클릭 후 관리메뉴 선택

7. 저장소 -> 디스크관리 -> 할당된 파티션에서 볼륨 확장으로 용량추가

활성화 파티션과 추가할당된 파티션 사이에 복구 파티션이 존재하는경우 해결 참조경로

https://ryazum.tistory.com/14

'공부방 >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누보드 5 + 아미나  (0) 2020.08.06
기술적 부채  (0) 2020.05.20
복구파티션 삭제  (0) 2020.05.07
Crystal Reports Date format  (0) 2020.04.28
EditPlus 설정 파일 경로  (0) 2020.04.27

CurrentDate = yy-MM-dd

CurrentDateTime = yy-MM-dd HH-mm-ss

 

nowYear = ToText(CDate(CurrentDateTime), "yyyy") //yyyy

'공부방 >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누보드 5 + 아미나  (0) 2020.08.06
기술적 부채  (0) 2020.05.20
복구파티션 삭제  (0) 2020.05.07
VMware 용량추가  (0) 2020.05.07
EditPlus 설정 파일 경로  (0) 2020.04.27

현 드라이브 D:\Program Files\EditPlus 

editplus_u.ini

[Editplus의 환경설정 파일]

 

ftp2_u.ini

[FTP 계정 설정 파일]

 

'공부방 >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누보드 5 + 아미나  (0) 2020.08.06
기술적 부채  (0) 2020.05.20
복구파티션 삭제  (0) 2020.05.07
VMware 용량추가  (0) 2020.05.07
Crystal Reports Date format  (0) 2020.04.28

+ Recent posts